장민철 기자
이미지=질병관리청 제공
질병관리청이 지난 10일,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확진자가 발생했다고 발표하며 국민들에게 철저한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확진자는 70대 고령으로 간 질환 등 기저질환을 앓고 있었으며, 지난 5월 1일부터 설사, 복통, 소화불량, 다리 부종 등의 증상을 보여 충남 지역 병원에 입원한 뒤 5월 10일 비브리오패혈증으로 최종 진단을 받았다.
비브리오패혈균은 해수, 갯벌, 어패류 등 연안 해양 환경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며, 수온이 18℃ 이상으로 상승하는 5월부터 활동성이 급증한다. 이로 인해 첫 환자는 보통 5~6월 사이 발생하며, 8~9월 사이에 가장 많은 환자가 보고된다.
비브리오패혈증에 감염되면 급성 발열, 오한, 복통, 구토, 설사, 혈압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특히 증상 발생 24시간 내에 다리 부위에 발진, 부종, 수포(출혈성 포함) 등의 피부병변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특히 간 질환자, 당뇨병 환자, 알코올 의존자 등 면역이 약한 고위험군은 감염 시 중증으로 진행되거나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질병관리청은 다음과 같은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켜줄 것을 강조했다.
먼저 △어패류는 반드시 충분히 익혀서 섭취해야 하고, 상처가 있는 피부는 바닷물에 접촉하지 않는다 △어패류는 5℃ 이하에서 저온 보관한다 △85℃ 이상 가열처리하며, 껍질이 열리고 나서 5분 이상 끓이거나, 증기로 익힐 경우 9분 이상 조리해야 한다 △흐르는 수돗물에 깨끗이 씻고, 해수 사용은 금지한다 △조리도구(도마, 칼 등)는 철저히 소독 후 사용한다 △어패류를 다룰 때는 반드시 장갑을 착용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비브리오패혈증은 어패류, 게, 새우 등 익히지 않은 음식 섭취를 피하는 등 예방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만성 간질환자, 당뇨병, 알콜의존자 등의 기저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은 치사율이 높으므로 더욱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경제엔미디어=장민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