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민철 기자
정부가 2025년 민생 안정과 내수 활성화를 위해 추진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농식품 소비 확대에 뚜렷한 효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당시 지급된 재난지원금보다 먹거리 구매 비중이 더 높게 나타났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이후, 농식품 소비변화/이미지=농촌진흥청 제공
농촌진흥청이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소비자 패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조사 결과, 응답자의 83.5%가 소비쿠폰을 먹거리 구매에 사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는 코로나19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약 60%)보다 20%포인트 이상 높은 수치다.
품목별로는 과일·과채류(70.7%)와 육류(66.4%) 소비 의향이 높았다. 과일·과채류 중에서는 복숭아(38.1%)가 가장 큰 인기를 얻었고, 뒤이어 수박(22.1%), 사과(18.3%), 포도(13.0%) 순으로 조사됐다. 육류의 경우 한우(40.2%)가 최다 응답을 기록했으며, 돼지고기(34.3%), 수입 쇠고기(11.6%)가 뒤를 이었다. 50대 이하에서는 한우 선호가, 60대 이상에서는 돼지고기 선호가 두드러졌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용도/이미지=농촌진흥청 제공
곡물류 소비는 쌀(42.0%), 콩류(31.2%), 옥수수(12.6%) 순으로, 채소류에서는 오이(21.0%), 상추(14.0%), 배추(11.9%) 순으로 늘어날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쿠폰 사용처 제한에 대해서는 절반 이상(51.4%)이 ‘지역 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긍정 평가했으며, ‘불편하지만 취지에 공감한다’는 응답이 30.4%로 뒤를 이었다. ‘상관없다’는 4.1%, ‘불편하다’는 14.1%였다. 특히 60대 이상에서 불편함을 느낀 비율(33.3%)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농촌진흥청 농업경영혁신과 위태석 과장은 “소비쿠폰이 소비자들의 구매 여력을 회복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며, “소비 진작과 농가 소득 안정이라는 정책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농식품 홍보와 판촉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경제엔미디어=장민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