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민철 기자
21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시작된 가운데, 서울사랑상품권 등 모바일 지역사랑상품권을 통한 발급 방식이 시민들 사이에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간편 결제와 실시간 잔액 확인 등 모바일 기반의 이용 편의성이 소비자들의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1일부터 서울페이+ 앱에서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신청할 수 있다/이미지=비즈플레이 제공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지역사랑상품권 △신용카드 △체크카드 중 선택해 받을 수 있으며, 이 중 지역사랑상품권은 각 지방자치단체가 사용 활성화를 적극 지원하고 있어 실질적인 소비 혜택이 기대된다.
특히 모바일 지역사랑상품권은 스마트폰으로 간편 결제가 가능하며, 잔액 및 사용 내역 확인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져 소비자가 예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원금이 소진되면 자동으로 본인의 자금이 사용되는 구조이기에, 모바일을 통한 잔액 확인은 소비계획 수립에 실질적인 도움을 준다.
활용도 또한 높다. 모바일 상품권은 공공배달앱과 연동되어 비대면 배달 결제에도 사용할 수 있다. 반면, 카드로 지급받은 소비쿠폰은 배달원이 방문했을 때 직접 결제를 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따를 수 있다.
서울 시민의 경우, 서울페이+ 앱을 통해 신청하면 ‘e서울사랑샵’과 같은 온라인몰에서도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있다. 기존에 할인받아 보유하고 있던 서울사랑상품권과 민생지원금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또한, 서울사랑상품권은 가맹점에 별도의 결제 수수료가 없어 결제금액 전액이 소상공인에게 전달된다. 이는 소상공인의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소비자들이 ‘착한 소비’를 실천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 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신청과 이용은 각 지자체의 지역사랑상품권 전용 앱을 통해 가능하며, 서울 시민은 서울페이+ 앱을 통해 손쉽게 신청할 수 있다.
서울페이+ 운영사인 비즈플레이는 “서울페이+는 이미 300만 명이 사용하는 앱으로 모바일 결제 트렌드에 익숙한 시민들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역시 모바일로 신청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경제엔미디어=장민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