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민철 기자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2023년 국가기술자격 취득자 중 재취업(이·전직)을 목적으로 자격시험에 응시한 2만4031명(전체의 3.9%)을 대상으로 재취업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평균 재취업 성공률은 41.1%, 평균 소요 기간은 78.9일로 나타났다.
등급별로는 산업기사가 44.0%로 가장 높은 재취업 성공률을 보였고, 이어 기능사(41.8%), 서비스 분야(40.9%), 기사(39.3%), 기술사(39.0%), 기능장(28.0%) 순이었다.
이미지=고용노동부 제공
재취업에 걸리는 기간은 기능장이 39.2일로 가장 짧았으며, 기술사(48.8일), 산업기사(63.2일), 기사(66.8일), 기능사(88.3일), 서비스 분야(99.9일)가 뒤를 이었다.
재취업 목적의 자격 취득자가 가장 많은 분야는 건설, 안전관리, 전기·전자 순이었다. 종목별로는 ▲기술사·기능장급에서 위험물기능장(132명) ▲기사급은 산업안전기사(1910명) ▲산업기사급은 산업안전산업기사(649명) ▲기능사급은 지게차운전기능사(3143명) ▲서비스 분야는 직업상담사 2급(516명)이 가장 많이 취득됐다.
특히 재취업 성공률이 높은 종목(취득자 50인 이상 기준)은 ▲전기기사(48.6%) ▲전기산업기사(60.8%) ▲승강기기능사(58.2%) ▲직업상담사 2급(44.6%) 등으로 나타났다. 재취업 소요 기간이 가장 짧은 종목(재취업자 수 30인 이상 기준)은 ▲에너지관리기사(42.2일)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43.7일) ▲자동차정비기능사(52.7일) ▲사회조사분석사 2급(82.6일)이었다.
연령별로는 청년층(19~34세)의 재취업 성공률이 44.3%로 가장 높았고, 고령층(55세 이상)이 40.2%, 중장년층(35~54세)은 37.9%로 나타났다.
재취업 소요 기간은 고령층이 75일로 가장 짧았다. 청년층은 산업안전기사(1134명)를 가장 많이 취득했으며, 중장년층과 고령층 모두 지게차운전기능사(각 1633명, 379명)를 가장 많이 땄다.
청년층에서 재취업 성공률이 가장 높은 종목은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63.9%)였고, 이어 전기산업기사(57.1%), 미용사(피부)(57.0%)가 뒤를 이었다. 중장년층과 고령층에서는 전기산업기사가 각각 63.0%, 62.5%로 가장 높았으며, 고령층에서는 설비보전기사(60.7%)도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성별로는 남성의 재취업 성공률이 41.3%, 여성은 40.5%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재취업 소요 기간은 남성(73일)이 여성(93.5일)보다 짧았다.
남성이 가장 많이 취득한 종목은 지게차운전기능사, 산업안전기사, 굴착기운전기능사였고, 여성은 직업상담사 2급, 산업위생관리기사, 산업안전기사 순이었다.
재취업 성공률이 높은 종목으로는 남성의 경우 전기산업기사(60.8%),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58.3%)가, 여성은 양식조리기능사(57.1%), 웹디자인기능사(51.4%)가 꼽혔다.
재취업 소요 기간이 가장 짧은 종목은 남성에서 설비보전기사(42.3일), 건축설비기사(42.6일), 여성에서는 건설안전기사(51.2일), 사무자동화산업기사(69.6일)였다.
최근 4년간 재취업을 목적으로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한 인원은 꾸준히 늘고 있다. 특히 안전관리 분야는 2020년 2279명에서 2023년 5455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해 연평균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건설 분야(1.7배), 전기·전자 분야(1.5배)도 상승세를 보였다.
고용노동부 임영미 직업능력정책국장은 “국가기술자격은 재취업에 상당한 도움이 되며, 특히 국민의 생명·안전과 직결되는 분야에서 돋보이는 경쟁력을 갖춘다”며 “앞으로도 국가기술자격 데이터를 분석해 국민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경제엔미디어=장민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