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태 기자
기후에너지환경부 산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이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진행한 ‘섬·연안 생물자원 조사·발굴 연구’에서 국내 미기록종 곤충 45종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진 분석 결과, 발견된 곤충 중 55.5%인 25종이 열대·아열대성으로, 나머지 20종은 온대·냉대성 곤충으로 나타났다. 열대·아열대성 곤충은 일본 오키나와, 인도 등 적도 부근 저위도 지역에서 주로 분포하며, 제주도에서는 ‘닮은모래가는납작벌레’ 등 6종, 거제도에서는 ‘푸른줄까마귀왕나비’ 등 5종이 발견됐다.
거제도에서 발견된 푸른줄까마귀왕나비/사진=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제공
우리나라는 여름과 겨울의 기온 차가 뚜렷한 온대 기후대에 속하기 때문에, 저위도 기후에 적응한 생물들의 출현은 기후변화의 환경지표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섬 지역은 외래 생물이 처음 유입되는 지점이자 내륙으로 확산되는 중간 관문으로, 정밀한 조사를 통한 생물상 변화 모니터링이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가거도, 흑산도 등 원거리 섬과 제주도, 울릉도 등 주요 섬에서 곤충, 어류, 지의류 등 다양한 열대·아열대 생물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며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상 변화를 조사 중이다.
연구진은 이번 조사에서 발견된 미기록종 45종 중 ‘남방가는나방’ 등 18종을 국가생물종목록에 등재했으며, 나머지 종들도 학술논문 발표 후 국가생물종목록에 추가 등재할 계획이다.
노승진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동물자원연구부장은 “섬에서 새롭게 발견되는 미기록종 곤충 가운데 상당수가 열대·아열대성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이는 기후변화가 우리나라 생물다양성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신호로, 앞으로도 섬 지역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상 변화를 과학적으로 규명하겠다”고 밝혔다.
[경제엔미디어=전현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