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영 기자
[경제&=김지영 기자] 미국의 연방준비제도 이사회에서 베이비스텝을 단행했다. 기존 금리 4.75%~5.00%를 5.00%~5.25%로 0.25%금리 인상한 연방준비제도 이사회는 최종금리에 가까워졌다는 의견이 나왔다.
지난해 3월부터 인상하기 시작한 연준은 10차례 연속 인상을 단행하며 2007년 8월이후 16년만의 금리가 최고 수준에 이르럿다. 자이언트스텝과 빅스텝, 베이스스텝으로 금리 인상 기조는 계속 유지했지만 서서히 인상률이 낮아지고 있다.
연준의 성명에 따르면 "추가 정책강화 조치가 적절할 수도 있다"며 긴축에 대한 의지 표현을 다소 완화했다. 기존 "금리인상이 적절할 것이다" 라는 기조에서 한층 부드러운 표현을 한 것이다.
이에 우리나라의 한국은행 금융통화 위원히가 오는 25일 열릴 예정이다. 현재 2회 연속 금리동결 기조를 유지하고 있고, 미국이 베이스스텝으로 속도조절에 들어갔기때문에 이번에도 금리를 동결 할 것인가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과 우리나라의 금리는 이로써 더 벌어졌다. 3.75%의 금리로 2회 연속 동결한 우리나라는 미국의 금리가 상단이 5.25%까지 뛰었기 때문에 한번 더 동결한다면 금리차이가 1.5%로 차이가 너무 많이 나다.
하지만 기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금리 차이에 대해 인정하면서도 우리나라 경제와 금융 시장이 안정되어 있다는 말로 그 이유를 설명했다. 하지만 금리 차이가 크기 때문에 한번 더 올려야 할지에 대해서는 고민이 커진 건 사실이다.
하지만 금리 동결을 예상하는 이가 많다. 그 예로 지난달 소비자 물가 상승율이 3.7%를 기록했고 이는 작년 2월 이후 가장 낮은 상승율 이란 점이다. 이는 지난해 7월 6.3%의 물가 상승률을 기록하던 때와 비교해도 절반으로 떨어졌다.
또 국가경제의 지지기반으로 보고 있는 경상수지가 올 1~2월에만 47억 3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지금의 예측으로는 올해 경상수지가 160억달러 흑자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을 것으로 전망 되기도 하다. 이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쉽게 긴축카드를 꺼내들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오는 배경이다.
하지만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서는 비관적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3일 열린 아시아개발은행 연차총회에 참석에 앞서 "한국의 인플레이션이 지난달 4%대 아래로 떨어지고 있다는 좋은 소식이 있지만 ㅇ전히 근원인플레이션은 목표 경로치를 웃돌고 있다"고 밝히며 " 지금 이 시기에 피봇(통화정책 전환)에 대해 얘기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이번 연준의 베이비스텝은 예상 되던 일이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포지션닝이 크게 달라지진 않을 것이지만 현재 서민 물가지수를 떠 받는 생활 물가는 흔히 보는 몇퍼센트와 몇퍼센트의 체감이 아님을 알고 있다.
계속 된 금리 인상은 결국 서민들의 생활을 힘들게 할 뿐 아니라 자영업자 폐업율 70%에 육박한다는 점 역시 금리 인상과 무관치는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