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2025년 공직자 재산변동사항 공개…평균 20억6314만원 신고
  • 기사등록 2025-03-27 09:40:06
기사수정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7일 ‘2025년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사항’을 공직윤리시스템과 관보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 재산공개 대상자는 행정부 소속 정무직, 고위공무원단 가등급, 국립대학총장, 공직유관단체장,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장, 광역의회 의원, 시·도 교육감 등 총 2047명이다.

 자료제공=인사혁신처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대상자의 신고 재산 평균 금액은 20억6,314만원으로, 2023년 말 기준(20억113만원) 대비 약 6201만원 증가했다. 

 

재산 규모별로 보면 ▲20억원 이상 644명(31.5%) ▲10억~20억원 610명(29.8%) ▲5억~10억원 373명(18.2%) ▲1억~5억원 352명(17.2%) ▲1억원 미만 68명(3.3%)으로 나타났다. 전체의 38.7%인 793명은 재산이 10억원 미만이었다.

 

재산 증가 원인으로는 주택 공시가격 및 토지 개별공시지가 상승에 따른 가액 증가(852만원, 14%)와 급여 저축 등 순재산 증가(5349만원, 86%)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됐다. 반면, 607명(29.7%)의 재산은 감소했으며, 주식 가격 하락 등이 주요 감소 요인으로 꼽혔다.

 

올해 재산이 공개된 정부 내각과 지방자치단체 주요 인사의 재산을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덕수 국무총리는 87억39만원을 신고했으며,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4억 6540만원을 신고했다. 

 

광역단체장 중에서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74억553만원을 신고해 최다를 기록했으며, 박형준 부산시장 58억9612만원, 홍준표 대구시장 42억5921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장관급 중에서는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77억3500만원으로 가장 많은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석비서관급 이상 대통령실 참모진 중에서는 홍철호 정무수석비서관이 261억3790만원을 신고했으며, 비서관급에서는 이원모 공직기강비서관이 397억8948만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한편 이번 공개 명단에는 윤석열 대통령이 포함되지 않았다. 

 

천지윤 인사혁신처 윤리복무국장은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구금 등 불가피한 사유가 있을 경우 정기 재산변동 신고를 유예할 수 있다”며, “윤 대통령이 1월 15일부터 3월 8일까지 구속 상태였기 때문에 신고가 불가능해 유예 신청을 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윤 대통령의 재산은 ‘6월 수시 재산공개’ 때 발표될 예정이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공개된 공직자 재산변동 사항을 오는 6월 말까지 심사할 예정이다. 

 

만약 재산을 거짓으로 기재했거나 중대한 과실로 누락 또는 잘못 기재한 경우,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이용해 재산상 이익을 취득한 경우에는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경고 및 시정조치, 과태료 부과, 해임·징계 의결 요구 등의 법적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특히 직무상 비밀을 이용한 부동산 취득 및 부동산 명의신탁 여부 등을 심층 심사해 부정한 재산증식 혐의가 발견될 경우, 관계 기관에 조사의뢰 및 통보 등의 조치도 병행할 예정이다.


[경제엔미디어=전현태 기자]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3-27 09:40:06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
최신뉴스더보기
코리아아트가이드_테스트배너
정책브리핑_테스트배너
유니세프_테스트배너
국민신문고_테스트배너
정부24_테스트배너
중소기업 옴부즈만_테스트배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