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호 기자
산업부와 KOTRA가 847억 추경을 투입해 관세 피해기업 2천개사를 추가 지원한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와 KOTRA가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중견기업을 돕기 위해 ‘관세 대응 바우처 사업’을 대폭 확대한다.
양 기관은 847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확보해 2000개 이상의 기업을 추가 지원할 계획이며, 오는 20일 오전 10시 온라인 설명회를 열고 사업 세부 내용을 안내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사업 확대는 지난 5월 1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추경안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기존 93억 원의 본예산으로는 204개 기업을 지원한 바 있다.
산업부와 KOTRA는 이번에 확보한 예산으로 보다 많은 기업에 전문 컨설팅과 전략 수립 비용 등을 지원할 수 있게 됐다.
특히 미국이 부과한 25% 품목별 관세로 피해를 입은 기업에 대해서는 ‘패스트 트랙’ 제도를 도입, 사업 신청 후 3일 이내에 선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신속한 지원 체계를 마련했다.
기존 204개 지원 기업 중 자동차부품(20.6%)과 기계류(14.2%) 기업이 전체의 34.8%를 차지했으며, 이들 기업은 주로 해외 현지의 관세 대응 전략 컨설팅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건설장비 제조업체 A사는 전액을 전략 컨설팅에 투입할 계획이며, 자동차 부품업체 B사는 1억 2000만 원 중 절반 이상을 현지 법무·세무 검토와 물류비 절감 전략에 사용할 예정이다.
관세 대응 바우처는 수출바우처 포털 내 ‘관세 대응 패키지 서비스’를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피해 분석, 대응 전략 수립, 생산거점 이전, 대체시장 발굴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맞춤형 지원이 이뤄진다.
KOTRA 강경성 사장은 “글로벌 관세 환경 변화로 기업들의 수출 애로가 심화되고 있다”며, “이번 추경을 기반으로 관세 대응 바우처를 신속하게 집행해 우리 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경제엔미디어=김재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