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호 기자
현대로템 본사 전경/사진=현대로템 제공
현대로템이 미국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윈드리버와 손잡고 철도차량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을 고도화한다.
현대로템은 9일 윈드리버의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 ‘WRSD’를 도입해 철도 부문 소프트웨어(SW) 개발 환경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WRSD는 가상화된 개발 환경을 제공해 다양한 개발 도구를 초기 단계부터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고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현대로템은 이번 협력을 통해 SDV(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개념을 철도차량 분야에도 적용할 계획이다.
기존에는 주요 장치별·개발자별로 분산된 환경에서 개별적으로 개발이 이뤄졌으며, 실물 장치에 직접 시험을 거쳐야 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됐다. 그러나 WRSD를 활용하면 개발·시험·검증·배포까지 자동화·가상화된 환경에서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어 효율성과 품질 확보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또한, 클라우드 기반 환경을 통해 다양한 개발자가 언제 어디서든 동시에 참여할 수 있어, 복수 프로젝트를 병행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현대로템은 국산 열차제어시스템(KTCS)을 비롯해 열차제어모니터링시스템, 통합방송시스템, 추진장치, 보조전원장치, 배터리 시스템 등 주요 철도차량 핵심 기술에 이번 개발 환경을 단계적으로 적용하고, 내년부터 본격 활용할 방침이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철도차량의 설계부터 검증, 유지보수까지 전 생애주기에서 고도화된 서비스 역량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며, “고객 요구에 보다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SDV 기술 적용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경제엔미디어=김재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