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호 기자
(왼쪽부터)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김복규 한국산업은행 수석부행장, 프랭크 브루노 서버러스 캐피탈 최고경영자,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등이 25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DC에 위치한 윌라드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한미 조선산업 공동 투자 프로그램 조성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HD현대 제공
HD현대가 미국 조선산업 재건을 위한 대규모 투자 프로그램 조성에 나서며 ‘마스가(MASGA)’ 프로젝트의 첫 발걸음을 뗐다.
HD현대는 25일(현지 시각) 미국 워싱턴DC 윌라드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한미 제조업 파트너십 MOU 체결식’에서 서버러스 캐피탈, 한국산업은행과 함께 ‘한미 조선산업 공동 투자 프로그램 조성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주관으로 열렸으며,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 프랭크 브루노 서버러스 캐피탈 CEO, 김복규 한국산업은행 수석부행장이 참석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수십억 달러 규모의 투자로 미국 조선업과 해양 물류 인프라, 첨단 해양 기술을 강화하는 데 목적을 둔다. 주요 투자 분야는 △미국 내 조선소 인수·현대화 △공급망 강화를 위한 기자재 업체 투자 △자율운항·AI 등 차세대 조선 기술 개발 등이다.
HD현대는 앵커 투자자이자 기술자문사로 참여해 조선·해양 분야에서 쌓아온 전문성을 기반으로 투자 대상의 기술적 타당성과 성장 가능성을 검토하는 역할을 맡는다. 서버러스 캐피탈은 운용사로서 투자 전략 및 관리 전반을 책임지며, 한국산업은행은 한국 투자자 참여 구조 설계 및 자금 모집을 지원한다.
이번 양해각서는 한·미 정상회담 이후 조선산업 분야에서 나온 첫 실질적 성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HD현대는 이를 계기로 양국 간 전략적 협력을 확대하고 새로운 협력 모델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기선 수석부회장은 “서버러스 캐피탈과의 협력이 미국 조선업 재건에 기여하는 동시에 한국 조선업에도 새로운 시장과 성장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HD현대의 축적된 선박 건조 기술과 디지털 역량을 통해 미국 조선업의 현대화·첨단화를 지원하고 글로벌 조선산업의 새로운 장을 열겠다”고 말했다.
프랭크 브루노 서버러스 캐피탈 CEO는 “HD현대와의 파트너십은 투자와 운영, 기술 역량을 결합하는 전례 없는 새로운 형태의 협력”이라며, “해양산업 재건을 위해 노력한 미국 정부와 의회, 그리고 한국의 과감한 투자에 감사한다”고 전했다.
김복규 한국산업은행 수석부행장은 “이번 프로그램은 조선업의 새로운 협력 모델이자 한·미 간 깊은 신뢰의 결과”라며, “한국 금융계를 대표해 성공적 조성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HD현대는 미국과의 협력을 확대하며 조선업 부활에 힘쓰고 있다. 지난 4월 미국 헌팅턴 잉걸스와 방산 협력 MOU를 체결했으며, 6월에는 에디슨 슈에스트 오프쇼어와 상선 파트너십을 맺었다. 이달 초에는 미 해군 7함대 소속 보급함 ‘USNS 앨런 셰퍼드’의 정기 정비 사업도 수주한 바 있다.
참고로 마스가(MASGA) 프로젝트는 미국 조선산업 재건을 위해 한·미 양국이 추진하는 대규모 협력 사업으로 미국 내 노후 조선소 현대화, 기자재 공급망 강화, 자율운항 등 차세대 기술 개발을 핵심 축으로 한다.
[경제엔미디어=김재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