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호 기자
LG CNS가 국내 기업 최초로 해외 AI 데이터센터 구축 사업을 수주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섰다.
디지털 전환(DX) 전문기업 LG CNS는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 약 1000억 원 규모의 초대형(하이퍼스케일급) AI 데이터센터를 2026년 말까지 완공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인도네시아 AI 데이터센터 조감도/사진=LG CNS 제공
이번 사업은 LG CNS와 인도네시아 재계 3위 시나르마스 그룹의 합작법인인 'LG 시나르마스 테크놀로지 솔루션'이 현지 디지털 인프라 기업 KMG와 계약을 체결해 추진된다.
AI 데이터센터는 지상 11층, 연면적 4만6,281㎡ 규모로, 약 10만 대 이상의 서버를 수용하며 수전 용량은 30MW(메가와트)에 달한다. 향후에는 총 220MW까지 수용 가능한 인도네시아 최대 규모의 데이터센터로 확장될 예정이다.
KMG는 시나르마스 그룹과 한국투자리얼에셋운용의 합작법인으로, LG CNS와의 지난해 컨설팅·설계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본 사업도 함께 진행하게 됐다. LG CNS는 인프라 전반을 총괄하며 냉각 시스템, 전력, 통신 등의 설계·구축을 맡는다.
LG CNS는 이번 프로젝트에 LG전자, LG에너지솔루션 등 그룹 계열사의 핵심 기술을 통합한 '원 LG(One LG)' 전략을 적용한다. GPU 팜에 특화된 맞춤 설계를 도입해 AI 컴퓨팅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 고도화된 냉각 및 전력 시스템으로 최적의 데이터센터 환경을 구현할 계획이다.
AI 데이터센터는 고성능 GPU를 대규모로 사용하는 특성상 발열이 심한데, 이에 따라 공랭식과 액체 냉각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냉각 시스템이 도입된다. 또한, 랙당 최대 130kW까지 지원 가능한 고밀도 전력 시스템이 구축돼 AI 중심의 고집적 운영이 가능하다.
LG CNS는 이중화된 전력 및 통신 인프라, 자동 공조 시스템, 내진 설계, 침수 방지 필로티 구조 등 안정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인 설계를 통해 365일 무중단 운영이 가능한 데이터센터를 완성할 방침이다.
망 중립성도 보장된다. 입주사는 비즈니스 특성에 따라 원하는 통신 회선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복수 회선을 구축해 서비스 연속성을 높일 수 있다. 건설 예정지인 멘텡 지역은 국가 네트워크망과 해저 케이블망과의 연결성이 뛰어나, 향후 아시아 네트워크 허브로 성장 가능성이 높다.
LG CNS는 지난 30년간 국내외에서 다양한 데이터센터 설계·구축·운영(DBO)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업계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해왔다. 현재 9개의 데이터센터를 운영 중이며, 국내 최다 센터 운영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그 역량은 인증과 수상으로도 증명됐다. LG CNS는 행정안전부의 ‘재해경감 우수기업 인증’을 획득했으며, 2023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년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데이터센터 안정성 부문 표창을 연이어 수상했다.
또한, 국제표준화기구(ISO)의 ‘ISO 22301(비즈니스 연속성)’과 ‘ISO 50001(에너지 경영 시스템)’ 인증도 취득한 바 있다.
현신균 LG CNS 대표는 “국내외에서 축적된 LG CNS의 데이터센터 역량을 총동원해 인도네시아에 최첨단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것”이라며, “이번 사업을 발판으로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글로벌 시장으로 AI 데이터센터 사업을 확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경제엔미디어=김재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