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태 기자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지난 6일부터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고 있는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현지시간 12일 오전 회의에서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올리기로 최종 결정했다.
이로써 한국은 총 17건의 세계유산(문화유산 15건, 자연유산 2건)을 보유하게 됐으며, 이번 등재는 2010년 잠정목록 등재 이후 15년 만에 결실을 맺은 쾌거다.
반구천의 암각화-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사진=국가유산청 제공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사진=문화재청 제공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반구천의 암각화’에는 국보인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와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가 포함된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사실적으로 그려진 그림과 독특한 구도가 한반도 선사인들의 예술성을 보여주며, 고래와 고래잡이를 묘사한 희소한 주제가 선사인들의 창의성을 보여주는 걸작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선사시대부터 약 6천 년간 이어진 암각화 전통의 독보적 증거이자,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의 문화 발전상을 집약적으로 드러낸다고 설명했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와 함께 △사연댐 공사 진행 상황을 세계유산센터에 보고할 것 △반구천세계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할 것 △관리 체계에 지역 공동체와 주민의 역할을 명확히 할 것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계획을 세계유산센터에 알릴 것을 권고했다.
이번 등재는 외교부, 국가유산청,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긴밀히 협력해 이뤄낸 성과로 평가된다.
국가유산청은 “앞으로도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고, 지자체·지역 주민과 협력해 지역사회와 상생할 수 있는 정책적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경제엔미디어=전현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