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가유산청, ‘사찰음식’ 국가무형유산 신규 지정 예고
  • 기사등록 2025-03-21 12:49:28
기사수정

서울 진관사 사찰음식/사진=한국불교문화사업단 제공

국가유산청이 21일, 사찰 공동체를 중심으로 오랜 기간 전승되어 온 ‘사찰음식’을 국가무형유산 신규 종목으로 지정 예고했다. 

 

이번에 지정 예고되는 사찰음식은 ‘불교의 정신을 담아 사찰에서 전승해 온 음식’으로, 승려들의 일상적인 수행식과 발우공양으로 대표되는 전통적인 식사법을 포괄한다. 

 

사찰마다 다양한 음식이 전승되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불교 사상에 기초하여 육류와 생선, 오신채(마늘, 파, 부추, 달래, 흥거) 없이 조리하는 채식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사찰음식은 한국 불교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왔다. 고려시대 ‘동국이상국집’, ‘조계진각국사어록’, ‘목은시고’ 등의 문헌에는 채식만두와 산갓김치 등 사찰음식 관련 기록이 남아 있으며, 조선시대 ‘묵재일기’, ‘산중일기’에서는 사찰이 두부, 메주 등 저장음식의 주요 공급처로 기능하며 사대부가와 곡식을 교환하는 등의 모습이 확인된다.

 

국가유산청은 사찰음식이 ▲불교 전래 이후 발전해오며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는 점 ▲‘살아있는 것을 죽이지 않는다’는 불교의 불살생 원칙과 생명 존중, 절제의 철학적 가치를 음식으로 구현하여 고유한 음식문화를 형성하였다는 점 ▲발효식품을 중심으로 하는 조리 방식과 지역에서 얻을 수 있는 식재료를 활용하고, 사찰이 위치한 지역의 향토성을 반영하는 등 타 국가의 사찰음식과 차별화된다는 점 ▲현재에도 사찰 내에서 왕성히 전승되고 있으며, 전통적인 조리법을 유지하면서도 창의적으로 재해석하는 등 그 영역을 확장하여 문화적 다양성과 창의성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다만, 사찰음식은 각 사찰마다 다양한 조리법이 이어져 오며, 승려와 공동체 구성원들이 함께 전승하는 집단적 성격을 갖고 있어, 특정 보유자나 보유단체를 지정하지 않는 ‘공동체 종목’으로 지정될 예정이다.

 

국가유산청은 30일 간의 지정 예고 기간 동안 국가유산청 누리집의 ‘국가유산지정예고’ 란을 통한 국민 의견 수렴을 비롯해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후 무형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사찰음식의 국가무형유산 지정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경제엔미디어=전현태 기자]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3-21 12:49:28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패랭이꽃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포인세티아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천사의 나팔꽃
최신뉴스더보기
한얼트로피
코리아아트가이드_테스트배너
정책브리핑_테스트배너
유니세프_테스트배너
국민신문고_테스트배너
정부24_테스트배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