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태 기자
안동 광흥사 응진전/사진=국가유산청 제공이미지 캡션
국가유산청이 조선시대 불교건축의 양식과 사찰 운영의 변화를 잘 보여주는 「안동 광흥사 응진전(安東 廣興寺 應眞殿)」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했다고 3일 밝혔다.
안동 광흥사는 통일신라 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전하며, 조선 전기에 불경 간행이 활발히 이루어졌던 안동 지역의 대표적 고찰이다. 응진전은 창건 연대가 명확하지 않지만, 지붕 마루 끝의 암막새 기와(망와)에 새겨진 글을 통해 1647년(인조 25년) 기와 공사를 한 사실이 확인되어, 그 이전인 조선 중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광흥사는 1827년과 1946년 두 차례 큰 화재로 주불전이었던 대웅전을 비롯한 주요 전각이 소실되었으나, 응진전은 중심 영역에서 다소 떨어져 있어 피해를 면했다. 이후 사찰 내에서 사실상 중심 불전의 기능을 담당해온 드문 사례로, 높은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응진전은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로, 정면에는 기둥 사이에도 공포(栱包)를 설치한 다포식 구조를 취해 화려한 외관을 보여준다. 측면과 후면은 기둥 위에만 공포를 두고, 꽃무늬가 새겨진 화반(花盤)으로 장식하여 정면의 위엄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특히 응진전의 공포는 조선 전기의 양식을 계승하면서도 중기와 후기를 거치며 발전한 불전 건축의 변화를 잘 보여주는 예로, 건축사적·학술적 가치가 크다.
또한, 응진전 내부에는 「소조석가여래오존상 및 16나한상 일괄」(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이 봉안되어 있다. 이 불상군은 16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총 42구에 이르는 대규모 불상군으로 구성되어 있어 일반적인 사례보다 수량이 많고 배치가 독특하여 예술적·학술적 의의가 높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안동 광흥사 응진전은 조선 불전 건축의 시대적 흐름을 보여주는 귀중한 문화유산”이라며, “지방자치단체와 소유자(관리자) 등과 긴밀히 협력하여 체계적인 보존과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경제엔미디어=전현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