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호 기자
현대자동차가 새로운 아트 파트너십 프로젝트인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의 첫 전시,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 엮음과 짜임’을 9월 4일부터 11월 2일까지 2025 청주공예비엔날레 특별전으로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유정혜, ‘금빛 베일_금빛으로 살짝 덮인 신비로운 장막’(2025) 외,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 엮음과 짜임’ 전시 전경(출처= 사진: 김우일, 청주공예비엔날레조직위원회 제공)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는 국내외 예술 기관들의 상호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 전시를 선보이는 신규 프로젝트로, 연구·신작 커미션·연계 프로그램까지 지원하며 초지역적 주제에 대한 예술적 탐구의 장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전시는 청주공예비엔날레(대한민국 청주)와 영국 휘트워스 미술관(맨체스터)이 공동 기획하고, 인도 국립공예박물관(뉴델리)이 협력 기관으로 참여했다.
전시는 한국·인도·영국 세 도시의 역사적 교류와 섬유를 중심으로 한 문화적 연결을 조명하며, 단순한 거래 수단을 넘어 문명을 잇는 역사적 유산으로서 섬유를 탐구한다.
전시에서는 ‘섬유 공예와 커뮤니티’를 주제로 한국과 인도 작가 8팀의 신작을 포함해 총 30여 점의 작품이 소개된다.
참여 작가는 보이토(Boito), 장연순, 홍영인, 카이무라이, 고소미, 페로(PÉRO), 수막쉬 싱, 유정혜 등이며, 이들은 지난 2월과 4월 인도와 한국에서 진행된 리서치 트립을 통해 다양한 섬유 기법과 장인 문화를 탐구하고 작품을 제작했다.
특히 휘트워스 미술관 소장 인도 텍스타일 작품은 기술적 정교함과 다층적 역사성을 보여주며, 섬유 공예를 기억, 지식, 정체성의 매개로 탐구할 기회를 제공한다.
현대자동차는 “이번 협업을 통해 시대와 지역을 잇는 섬유 예술의 서사를 새롭게 조명하고, 앞으로도 국내외 예술 기관 간 초지역적 협업을 지원하며 예술을 통한 동시대적 연결성과 이해를 넓히겠다”고 밝혔다.
청주공예비엔날레 강재영 예술감독과 휘트워스 미술관 이숙경 관장은 “한국·인도·영국 섬유 예술 간 교류를 탐색하며, 참여 작가들이 각 지역의 유산을 동시대적 시각으로 재조명했다. 이들의 연구와 협동성은 섬유 예술의 촉각성과 노동 집약적 특성을 보여주며 깊은 감명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전시는 청주공예비엔날레 특별전 이후 2026년 2월 인도 국립공예박물관, 2026년 7월 영국 휘트워스 미술관에서도 이어진다.
또한, 시리즈 두 번째 교류 기관인 백남준아트센터(용인)와 피나코테카 미술관(브라질 상파울루)은 공동 기획 전시를 2026년 11월 개최할 예정이다.
현대자동차는 향후 10년간 다양한 기관의 초지역적 예술 협업을 지속 지원하며, 지역 활성화와 예술 다양성 확대를 통해 개방적이고 통합적인 예술 생태계 조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제엔미디어=김재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