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민철 기자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제5기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가 8월 29일 발표한 ‘2022~2024 여론집중도 조사’ 결과, 종합편성채널(종편)군의 영향력이 소폭 확대된 반면, 전체 매체 합산 여론영향력 집중도는 완화되는 경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종이신문, 텔레비전방송, 라디오방송, 인터넷뉴스, 소셜미디어 등 5대 매체를 대상으로 뉴스·시사보도 콘텐츠 이용점유율과 집중도를 분석해 매체 합산 여론영향력 집중도를 산출했다.
매체합산 여론영향력 집중도 추이(2021~2024년)/자료제공=문화체육관광부
조사 결과, 2024년 허핀달-허쉬만 지수(HHI)는 644로, 2021년 747보다 낮아져 특정 매체계열의 독점적 영향력이 완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상위 3개 매체계열(CR3)의 여론영향력 점유율은 29.9%, 상위 8개 매체계열(CR8)은 65.2%로, 모두 2021년보다 감소했다.
매체군별로는 종편군이 28.3%로 가장 높은 비중을 기록하며 2021년 27.6%보다 소폭 상승했다.
지상파군은 25.0%로 안정세를 보였고, 뉴스통신·보도전문채널군은 23.4%로 2021년 28.4%에서 크게 줄었다.
신문군은 12.3%로 소폭 증가했지만 전체 비중은 여전히 낮았다.
매체군별 매체 합산 여론영향력 점유율 추이(2021~2024년)/자료제공=문화체육관광부
매체부문별 집중도에서는 전통 매체가 높은 집중도를 나타냈다. 종이신문 HHI는 1275로 주요 종합일간지 중심 구조를 유지했으며, 텔레비전방송은 상위 8개 방송사가 전체 점유율의 95.2%를 차지했다.
라디오도 HHI 1919로 높은 집중도를 기록했다.
반면 인터넷뉴스와 소셜미디어는 분산화가 뚜렷했다. 특히 인터넷뉴스 상위 3개사 점유율(CR3)은 2021년 26.7%에서 2024년 17.7%로 급감했다.
위원회는 이번 조사와 관련해 “여론영향력이 집중된 상위 매체의 공적 책무와 투명성 제고가 필요하다”며, “신생 매체 품질 향상과 국민 접근성 확대를 위한 제도적 지원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플랫폼 기반 뉴스 소비 확산에 따라 뉴스 개념 재정의와 여론 영향 콘텐츠 범위 설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2024년 여론집중도 조사 보고서’는 문화체육관광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경제엔미디어=장민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