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민철 기자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이 오는 24일부터 전면적인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선언하며, 정부에 2021년 체결한 ‘9.2 노정합의’ 이행을 포함한 7대 요구사항 수용을 촉구했다.
보건의료노조는 18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생명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총파업 결정을 공식 발표했다.
보건의료노조는 18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생명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총파업 결정을 공식 발표했다/사진=IPC 제공노조는 지난 106개 지부에서 진행된 쟁의행위 찬반투표 결과, 투표율 87.2%, 찬성률 92.06%로 압도적인 찬성 속에 파업이 가결됐다고 밝혔다. 이는 2004년 이후 가장 높은 투표율과 역대 최고 찬성률이라는 기록적인 수치다.
전체 조합원 8만8562명 중 6만334명이 파업권을 확보했으며, 노조는 “24일 오전 7시부터 산별총파업에 돌입한다”고 예고했다.
최희선 보건의료노조 위원장은 “코로나19와 의료대란의 최전선에서 헌신한 노동자들에게 돌아온 것은 임금 체불과 만성적인 인력 부족, 장시간 노동뿐”이라며, “정부는 2021년 9월 2일 복지부와 체결한 ‘9.2 노정합의’를 사실상 파기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재명 정부가 사회적 대화를 강조한다면, 그 첫걸음은 합의 이행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조가 제시한 총파업 7대 요구사항은 △9.2 노정합의 이행협의체 복원 △직종별 인력기준 제도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전면 확대 △의대 정원 확대 및 공공의대 설립 △보건의료산업 주4일제 도입 △공공병원 ‘착한 적자’ 국가책임제 도입 △산별교섭 제도화 등이다.
이들은 모두 현 정부의 국정과제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이 노조의 입장이다.이번 파업 결정은 지난 5월 7일부터 7차례에 걸친 산별중앙교섭이 협상 결렬로 이어진 데 따른 것이다.
노조는 지난 7월 8일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을 신청하고, 전국 127개 의료기관에서 찬반투표를 진행해 이 중 106개 지부에서 찬성 가결됐다. 노조는 사용자 측이 “제도 도입 전” 또는 “정부 지원 미비” 등을 이유로 대부분의 요구안을 거부했다고 전했다.
최복준 정책실장은 “올해 파업 찬반투표는 2004년 이후 가장 높은 참여율”이라며, “정부와 사용자가 책임 있는 자세를 보이지 않을 경우, 무기한 총파업도 불사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노조는 파업 전날인 23일 의료기관별로 전야제를 개최하고, 24~25일에는 서울에서 총파업대회를 연다. 이어 26일에는 대한적십자사 본부지부 투쟁을 위한 집중 집회를 서울역 인근에서 열 계획이다.
한편 응급실과 수술실 등 필수 유지업무는 노조법에 따라 파업 기간 중에도 정상 운영된다. 노조는 오는 25일 열리는 중앙집행위원회와 대의원대회에서 파업의 향방을 추가 논의할 예정이다.
보건의료노조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초고령사회와 의료대란의 해법은 인력 확충과 공공의료 강화에 있다”며, “7월 24일 전까지 정부와 사용자 측이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만 총파업은 막을 수 있다”고 밝혔다.
[경제엔미디어=장민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