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호 기자
2만4000 TEU급 컨테이너선 ‘HMM 알헤시라스호’/사진=HMM 제공
미국이 한국산 제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사실상 8월 1일까지 유예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관세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해 남은 기간 동안 협상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시간 오전 1시 20분 트루스소셜을 통해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율과 발효 시점을 담은 서한을 공개했다고 밝혔다.
해당 서한에는 한국산 제품에 대해 오는 8월 1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할 계획임이 명시됐다. 이는 지난 4월 2일 발표한 국별 관세 수준과 동일하다.
미국 측은 서한에서 “더 높은 관세를 피하려고 환적(第三國 경유)을 시도하는 상품에 대해서는 고율 관세를 적용할 것”이라며 “또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할 경우, 그만큼 관세를 추가로 매기겠다”고 경고했다.
산업부는 “새 정부 출범 이후 국익을 최우선으로 짧은 기간 치열하게 협상했으나, 현실적으로 모든 쟁점에 대해 합의를 도출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했다”며, “이번 서한으로 관세 부과가 사실상 8월 1일까지 연장된 것으로 보고, 남은 기간 동안 상호 호혜적인 협상 성과를 이끌어내기 위해 협상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산업부는 미측의 주요 관심사인 무역적자 해소를 위해 국내 제도 개선과 규제 합리화를 추진하고, 양국 간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을 통해 핵심 산업 육성의 기회로 삼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산업부는 제1차관 주재로 관세로 인한 국내 업종별 영향을 점검하기 위한 긴급대책회의도 개최할 계획이다.
[경제엔미디어=김재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