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태 기자
서울시가 스마트폰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고령층과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해 새로운 교통 서비스를 도입했다.
서울시가 7일 오후 2시부터 어르신 등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동행 온다콜택시’ 시범 운영을 시작한다/사진=IPC 제공
‘동행 온다콜택시’는 7일부터 시범 운영에 들어가며, 스마트폰 앱 없이도 전화 한 통으로 택시를 호출할 수 있는 서비스로 만 60세 이상 고령자와 디지털 접근이 어려운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다.
서울시는 해당 서비스는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한 맞춤형 서비스로, 오전 9시부터 밤 10시까지 콜센터를 통해 택시를 간편하게 부를 수 있다”고 밝혔다.
현재 대부분의 택시 호출이 스마트폰 앱을 기반으로 이뤄지며, 고령층은 불편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60대 이상 시민의 약 80%는 거리에서 택시를 직접 잡는 '배회 영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반면 20~40대는 60% 이상이 모바일 앱 호출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행 온다콜택시’ 이용 방법은 간단하다. 전용 콜센터에 전화를 걸어 출발지와 목적지를 말하면, 상담원이 티머니모빌리티의 ‘온다택시’ 시스템을 통해 인근 택시를 배차한다.
배차가 완료되면 차량 번호, 기사 연락처, 차량 위치 등의 정보가 문자나 카카오톡 알림톡으로 발송된다.
서비스 운영은 티머니모빌리티가 맡아 시스템 구축과 운영 비용을 전액 부담하며, 운행 1건당 택시기사에게 1000~2000원의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현재 서울시 전체 택시 7만1천여 대 중 약 3만6천 대가 티머니 플랫폼에 가입돼 있어 원활한 배차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이번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향후 24시간 서비스 확대도 검토할 계획이다. 초기 운영 기간 동안 시민 반응과 수요를 바탕으로 제도 보완과 확대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자세한 이용 방법은 티머니모빌리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경제엔미디어=전현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