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착한가격업소’ 1만 개소 돌파…신뢰받는 외식 문화로 자리매김
  • 기사등록 2025-04-17 16:02:54
  • 기사수정 2025-04-17 16:03:58
기사수정

정부가 지정하는 ‘착한가격업소’가 마침내 1만 개소를 돌파했다. 행정안전부는 17일 오전, 서울 관악구 주택가에 위치한 한 한식당에서 ‘1만 번째 착한가격업소 현판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행정안전부 한순기 지방재정경제실장과 관악구청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해 해당 업소의 착한가격 실천을 축하하고, 맞춤형 물품을 전달하는 등 현장 지원에도 나섰다.

 

1만 번째로 지정된 이 한식집은 대표 메뉴인 순대국밥을 인근 평균보다 1500원 저렴한 8000원에 판매하고 있어 지역 주민에게 실질적인 가격 혜택을 제공하는 모범 업소로 평가받고 있다.

 

착한가격업소는 2011년 2000여 개소로 시작된 이후, 2023년 정부의 본격적인 지원을 기반으로 7000여 개소로 확대됐다. 이어 2024년에는 민간 협업과 국민 공모전(‘착한가격업소 찾습니다’)을 통해 663개 업소가 새롭게 지정되면서 2025년 3월 기준 전국 1만 59개소로 집계됐다.

 

한편 행안부는 양적 성장에 그치지 않고, 질적인 신뢰 확보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25년부터는 착한가격업소 지정 기준을 전면 강화해, 가격 기준은 기존 ‘평균 이하’에서 ‘평균 미만’으로 조정했으며, 위생 기준 배점도 20점에서 25점으로 상향해 소비자의 만족도와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또한, 착한가격업소 누리집에 ‘업소정보 오류신고’ 기능을 신설하고, 언론 보도나 소비자 신고가 접수될 경우 지자체가 우선 개선 조치를 시행하고 행정안전부가 직접 현장 점검에 나설 예정이다.

 

지난달 실시된 전국 일제정비 결과에 따르면, 신규로 546개소가 지정된 반면휴·폐업(125개소), 지정 기준 미달(34개소), 자진 취소(13개소) 등으로 210개소가 지정 취소되었다. 기준 미달 사유로는 가격 인상에 따른 착한가격 메뉴 기준 초과, 위생 상태 미흡 등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한순기 지방재정경제실장은 “착한가격업소의 확대는 고물가 시대에 생활 물가 안정을 돕는 의미 있는 노력”이라며, “앞으로도 체계적인 관리와 점검을 통해 국민의 신뢰를 높이고, 지역 경제와 공동체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경제엔미디어=전현태 기자]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4-17 16:02:54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패랭이꽃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포인세티아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천사의 나팔꽃
최신뉴스더보기
한얼트로피
코리아아트가이드_테스트배너
정책브리핑_테스트배너
유니세프_테스트배너
국민신문고_테스트배너
정부24_테스트배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