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민지 기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국내 자생식물인 보리밥나무가 탈모 예방에 효과가 있는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음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관련 특허 등록을 완료했으며, 보리밥나무 추출물이 국제화장품원료집(ICID)에도 등재돼 화장품 산업에서의 실용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보리밥나무/사진=산림청 제공
보리밥나무는 우리나라 해안 지역에 자생하는 상록 활엽 덩굴식물로, 가지에 은백색과 연한 갈색의 비늘털이 특징이다. 한방에서는 '동조(冬棗)'라는 이름으로 천식, 기침, 당뇨 등에 약용되어 온 전통 약재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는 2022년부터 국내 산림자원 170여 종을 대상으로 모발 건강 관련 효능을 평가한 결과, 보리밥나무가 모발 성장에 핵심적인 모유두세포 활성에 가장 탁월한 효과를 보인다고 밝혔다.
보리밥나무 모유두세포 발달 효능/자료제공=국립산림과학원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10㎍/㎖ 농도로 처리했을 때 모유두세포 활성이 약 150%, 30㎍/㎖ 농도에서는 175%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유두세포 강화와 관련된 바이오마커 발현도 추출물 농도에 따라 증가해 과학적 근거를 확보했다.
모유두세포는 모낭 기저부에 위치한 세포로, 모발의 성장과 생장주기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보리밥나무 추출물의 피부 자극 테스트에서 ‘무자극’ 판정을 받아 안전성도 확보했으며, 이를 활용한 앰플 시제품 제작도 완료, 안정성과 실용성에 대한 검토를 마쳤다.
현재 국립산림과학원은 임상 효력 시험을 통해 인체 적용성 검증을 진행 중이며, 산업체 기술이전 및 원료 상용화를 통한 임가 소득 창출도 기대하고 있다.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최식원 박사는 “보리밥나무는 모유두세포를 직접적으로 발달시키는 국내 고유 산림자원”이라며, “기술이전과 산업화가 이뤄질 경우 탈모 예방 원료로서 국내 임산물의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제엔미디어=박민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