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민지 기자
대웅제약 용인연구소/사진=대웅제약 제공
대웅이 디지털트윈 기술을 기반으로 한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제조 공정 개발에 본격 나선다.
대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5년도 제1차 바이오헬스 분야 연구개발사업’에서 ‘디지털트윈 기반 바이오의약품 차세대 제조공정 기술개발’ 과제가 최종 선정됐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국책 과제는 디지털트윈 기술을 바이오의약품 생산에 적용하는 것을 핵심 목표로 삼는다. 디지털트윈은 실제 생산 환경을 정밀하게 디지털 가상 공간에 구현하고, 실시간 데이터 수집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공정의 상태를 예측 및 최적화할 수 있는 첨단 기술이다.
이를 통해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사전에 감지하고 신속히 대응할 수 있어 생산 안정성과 품질 향상은 물론, 개발 시간과 비용 절감까지 가능하게 한다.
기존에는 다양한 공정 조건을 실험실에서 반복적으로 조정하며 최적 조건을 찾는 실험 설계 방식(DoE)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디지털트윈을 활용하면 다양한 변수(온도, 시간, 습도 등)를 실시간으로 시뮬레이션해 최적 조건을 빠르게 도출할 수 있어, 공정 개발의 유연성과 효율성이 대폭 향상된다.
대웅은 이번 과제를 통해 세포 배양부터 정제에 이르는 바이오의약품의 전 공정을 통합한 디지털트윈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실제 제조 환경에 적용해 실증하는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특히 디지털 자동화·무인화·데이터 기반 제어 역량을 강화해 차세대 첨단 제조공정 기술 확보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이미 대웅제약은 충북 오송 스마트팩토리에 디지털 자동화 솔루션을 도입해 운영 중이며, 이번 연구를 통해 축적된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공정 기술을 실제 생산 현장에 접목해 미래형 제조 역량을 한층 끌어올릴 계획이다.
유지민 대웅 바이오R&D센터장은 “이번 과제는 디지털트윈 기술을 국내 바이오의약품 생산 현장에 실질적으로 적용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정밀한 예측과 자동화된 제어를 통해 품질 안정성과 연구개발 효율을 동시에 확보하고, 국내 바이오 제조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경제엔미디어=박민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