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가유산청, ‘서울 흥천사 목조관음보살삼존상’ 보물 지정 예고
  • 기사등록 2024-09-13 10:39:15
기사수정
▲서울 흥천사 목조관음보살삼존상 / 사진=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이 13일 관음보살, 남순동자, 해상용왕으로 구성된 조선 후기의 ‘서울 흥천사 목조관음보살삼존상’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서울 흥천사 목조관음보살삼존상은 조성발원문을 통해 1701년(조선 숙종 27)이라는 제작 연대, 수조각승 법잠을 비롯한 계초, 진열, 성인 등의 제작자, 임실 신흥사 적조암이라는 원봉안처 등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불상이다.

현재 흥천사 대방에 모셔져 있는 이 관음보살삼존상이 언제 임실 신흥사 적조암에서 서울 흥천사로 옮겨졌는지 명확하지는 않지만, 1890년 흥천사 수월도량 정비 과정에서 대방에 모셔져 있던 관음보살상과 남순동자상, 해상용왕상 등을 수리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그 이전에 옮겨진 것으로 보인다.

수조각승 법잠은 조선 후기 조각계에서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조각승이지만 함께 조성 작업에 참여한 계초와 진열은 18세기 조각계에서 매우 비중 있는 조각승이다.

따라서 이 불상은 이들의 조각승 계통의 형성과 전승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라 할 수 있으며, 특히 1701년 작품으로 18세기 불교 조각의 첫 장을 연다는 미술사적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유물은 수월도량의 주불인 관음보살과 남순동자, 해상용왕으로 구성된 매우 드문 삼존상이다.

이러한 관음보살삼존의 구성은 이미 고려 불화에서 그 전조가 보이기는 하지만, 완전하게 자리 잡은 것은 17세기 이후부터로 판단된다.

조선 후기와 말기에 편찬된 의례집에서는 관음보살과 남순동자, 해상용왕이 관음보살삼존으로 언급되는데, 이 불상은 이보다 시대가 앞서기 때문에 의례집 간행 이전부터 성행한 관음보살삼존도상과 신앙을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한 자료이다.

국가유산청은 이번에 지정 예고한 ‘서울 흥천사 목조관음보살삼존상’에 대해 30일간의 예고기간 중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한 후,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경제엔=윤재우 기자]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4-09-13 10:39:15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북창동 도로에서 펼쳐질 예정인 촛불 행동의 윤석열 탄핵집회
  •  기사 이미지 수원 하늘에 떠오른 슈퍼문
  •  기사 이미지 <동네 한바귀-걷다보니> 충주호에서 바라본 월악산 국립공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